HRD 양성 난소암 환자를 위한 희망의 신호: 제줄라의 건강보험 급여 적용
상동재조합결핍 양성 난소암은 난소암 환자들 중 약 50%를 차지하며, 이 중에는 약 20%가 유전성 및 체성 BRCA 1/2 변이를 가진 환자들이 포함됩니다. 이제는 BRCA 변이가 확인되지 않았던 난소암 환자들도 제줄라를 통해 치료의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Nov 19, 2024
HRD 양성 난소암 환자를 위한 희망의 신호: 제줄라의 건강보험 급여 적용
최근 한국다케다제약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이제 'HRD(상동재조합결핍) 양성 난소암' 환자들에게 제줄라(성분명 니라파립)의 1차 유지요법으로 건강보험 급여가 부여됩니다. 난소암 환자들의 새로운 치료 선택권이 확대된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HRD 양성 난소암, 그 정의와 중요성
상동재조합결핍 양성 난소암은 난소암 환자들 중 약 50%를 차지하며, 이 중에는 약 20%가 유전성 및 체성 BRCA 1/2 변이를 가진 환자들이 포함됩니다. 이제는 BRCA 변이가 확인되지 않았던 난소암 환자들도 제줄라를 통해 치료의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줄라의 보험 적용 확대
이번 고시에 따라 HRD 양성 난소암 환자들이 진행성 상동재조합결핍 양성 암세포에 대해 부분적 또는 완전 반응을 보인 경우, 제줄라의 보험 급여가 적용됩니다. 이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HRD 양성 난소암 환자의 1차 유지요법으로 인정된 치료제입니다. 기존에는 BRCA 변이 난소암 환자에게만 급여가 적용되었으나, 이제는 한층 더 많은 환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갑니다.
임상적 유효성
서울대병원의 김재원 교수는 제줄라의 임상적 유효성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제줄라는 BRCA 변이를 포함한 HRD 양성 난소암 환자군에서 무진행생존기간(PFS) 개선 혜택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PRIMA 연구에서 제줄라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위약군에 비해 무진행생존기간이 현저히 연장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결론
HRD 양성 난소암 환자들은 제줄라의 건강보험 적용 확대 소식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덜면서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이는 난소암 치료에 있어 중요한 진전을 의미하며,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될 것입니다.
Share article